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의 유선 통신 영상인식 카메라 고정대
본 발명은 도로교통관리설비로서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과속차량의 차량번호, 차량종류, 통행량 등을 인공지능을 통해 인식하기 위한 영상인식 카메라를 적절한 위치로 세팅하는데 사용하는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의 유선 통신 영상인식 카메라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에 설치된 영상인식 카메라는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해서 컴퓨터와 같은 영상처리장치를 통해 과속차량의 차량번호, 차량종류, 통행량 등을 인식하는 것으로, 도로변에 세워진 지주의 상단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문형(門形)의 겐트리에 설치된다. 카메라가 차선을 향해 적절한 높낮이와 기울기로 설치되어야만 피사체 인식률을 높일 수 있고, 특히 카메라의 기울기는 역광을 회피하고 선명한 영상 획득을 위한 초점거리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국내 등록특허 제10-1909909호에 제안된 종래기술은, 외팔보 형태의 수평암이 겐트리에 설치되어 있고, 수평암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카메라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직암이 수평암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겐트리에 연결되는 지지점이 수평암의 단부 한곳이고, 전체적으로 외팔보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카메라의 흔들림이 심해 촬영된 영상의 질이 크게 떨어지고 인식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강풍시 카메라의 흔들림을 줄여서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메라의 높낮이 변경은 물론,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의 유선 통신 영상인식 카메라 고정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의 유선 통신 영상인식 카메라 고정대는, 겐트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 보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코너클램프; 코너클램프의 바깥쪽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피벗지지판; 피벗지지판에 회전이음 되는 한 쌍의 회전너트; 회전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행거스크류; 한 쌍의 코너클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코너클램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 고정암; 스크류 고정암에 형성되는 장공; 스크류 고정암의 사이에 위치되고, 행거스크류가 관통되는 스크류 안내구멍을 갖는 스크류 각도 조절봉; 스크류 각도 조절봉의 양단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양축볼트; 양축볼트와 결합되고, 스크류 각도 조절봉을 스크류 고정암에 고정하는 고정너트; 카메라 하우징에 설치되는 한 쌍의 클레비스; 클레비스에 회전이음 되고, 회전너트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장구축; 행거스크류의 하단에 형성되고, 장구축의 축선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장구축에 회전이음 되는 스러스트 지지축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는, 피벗지지판의 사이에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회전블록; 회전블록의 외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피벗지지판에 회전이음 되는 한 쌍의 피벗핀; 회전블록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안내홈; 회전블록의 사이에 위치되고, 행거스크류의 나사산 반쪽면을 지지하기 위한 반원홈을 갖는 스크류받침; 스크류받침의 양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수직안내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 행거스크류를 사이에 두고 스크류받침과 마주하면서 회전블록의 사이에 위치되고, 행거스크류의 나사산 반쪽면에 결합되는 반원나선홈을 갖는 하프너트; 하프너트의 양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수직안내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돌기; 회전블록의 하단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하부커버; 스크류받침과 하부커버 간을 연결하는 받침체결볼트; 회전블록의 상단에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상부커버; 상부커버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스프링시트; 스프링시트와 하프너트의 사이에 위치되고, 하프너트를 행거스크류를 향해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너트록 스프링; 하프너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나사구멍; 스프링시트의 상단에 형성되는 볼트구멍; 볼트구멍을 통해 나사구멍에 결합되고, 행거스크류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프너트를 당겨서 나사 결합을 해제하는 릴리즈볼트; 행거스크류에 결합되고, 스크류받침과 하프너트의 양단을 압박하는 한 쌍의 로크너트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한 쌍의 행거스크류(70)에 의해 다점 지지되어 있으므로, 카메라 하우징(12)의 흔들림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 쌍으로 구성된 행거스크류(70)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카메라 하우징(12)의 높낮이와 전후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두 행거스크류(70)를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카메라 하우징(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너트(83)를 풀어서 양축볼트(80)를 장공(22h)을 따라 이동시키면 카메라 하우징(12)의 전후위치와 상하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릴리즈볼트(63)를 이용해서 하프너트(50)를 행거스크류(70)로부터 이격시키고, 로크너트(72)를 풀면 행거스크류(70)를 돌리지 않고 축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행거스크류(70)의 위치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릴리즈볼트(63)와 너트록 스프링(62)을 이용해서 하프너트(50)의 반원나선홈(51)을 행거스크류(70)의 나사부에 맞물리면, 행거스크류(70)의 회전방향과 회전횟수에 따라 행거스크류(70)의 위치를 미세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행거스크류(70)가 너트록 스프링(62)에 의해 축의 직각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을 때 반대편에 위치된 스크류받침(40)에 의해 행거스크류(7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행거스크류(70)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겐트리(10)의 모서리에 밀착되는 코너클램프(2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겐트리(10)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더라도 코너클램프(20)를 겐트리(10)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겐트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코너클램프(2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너트(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지지판(21)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행거스크류(70)의 회전범위를 크게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크류 고정암(22) 사이에 위치된 스크류 각도 조절봉(81)과, 장공(22h)을 따라 움직이는 양축볼트(8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행거스크류(7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행거스크류(70)에 결합된 로크너트(72)에 의해 행거스크류(7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상태로부터 행거스크류를 이용해서 카메라 하우징의 기울기를 변경한 것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클램프 및 스크류 고정암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레비스와 카메라 하우징의 연결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저면측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하프너트가 행거스크류에 맞물린 것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하프너트가 행거스크류로부터 이격된 것을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를 보인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축볼트를 보인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레비스를 보인 평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A-A'선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겐트리(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 보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코너클램프(20); 코너클램프(20)의 바깥쪽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피벗지지판(21)을 포함한다. 코너클램프(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소재로 해서 L자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코너클램프(20)를 겐트리(10)에 설치하기 위해 코너클램프(20)의 양단에 클램프 체결구멍(23h)을 갖는 플랜지(23)를 형성할 수 있다. 코너클램프(20)를 겐트리(10)에 설치하는 과정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겐트리(10)를 사이에 두고 코너클램프(20)를 대각선 방향에서 서로 마주 보게 위치시킨 다음 코너클램프(20)를 겐트리(10)의 모서리에 밀착시키고, 플랜지(23)에 형성된 클램프 체결구멍(23h)으로 클램프 체결볼트(24)를 삽입한 후 반대편으로 돌출된 클램프 체결볼트(24)의 단부에 클램프 체결너트(25)를 결합해서 조이면 코너클램프(20)가 겐트리(10)에 설치된다. 피벗지지판(2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소재로 해서 성형할 수 있고, 코너클램프(20)의 외측 모서리에 용접할 수 있다, 피벗지지판(21)는 코너클램프(20) 한 개당 한 쌍씩 대응해서 설치할 수 있다. 한 쌍의 피벗지지판(21)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고, 피벗지지판(21)에는 회전너트(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핀구멍(21h)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피벗지지판(21)에 회전이음 되는 한 쌍의 회전너트(30); 회전너트(30)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행거스크류(70); 한 쌍의 코너클램프(20) 중 적어도 하나의 코너클램프(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 고정암(22); 스크류 고정암(22)에 형성되는 장공(22h)을 포함한다. 회전너트(30)는 피벗지지판(21)에 형성된 핀구멍(21h)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행거스크류(70)와 회전너트(30)는 서로 나사 결합된다. 행거스크류(70)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직선형의 금속 환봉을 소재로 해서 성형할 수 있다. 행거스크류(70)에는 육각봉(73)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스패너와 같은 체결공구를 육각봉(73)에 물려서 행거스크류(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스크류 고정암(22)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소재로 해서 성형할 수 있고, 코너클램프(20)의 외측 수직면에 수평하게 용접할 수 있다. 스크류 고정암(22)에 형성된 장공(22h)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류 고정암(22)의 사이에 위치되고, 행거스크류(70)가 관통되는 스크류 안내구멍(81h)을 갖는 스크류 각도 조절봉(81); 스크류 각도 조절봉(81)의 양단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장공(22h)을 따라 이동하는 양축볼트(80); 양축볼트(80)와 결합되고, 스크류 각도 조절봉(81)을 스크류 고정암(22)에 고정하는 고정너트(83)를 포함한다. 양축볼트(80)의 축선은 회전너트(30)의 축선과 평행하고, 스크류 안내구멍(81h)은 양축볼트(80)의 축선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천공한다. 스크류 각도 조절봉(81)에 형성된 스크류 안내구멍(81h)을 관통한 행거스크류(70)는 스크류 안내구멍(81h)에서 공회전 되고, 스크류 안내구멍(81h)에 의해 지지된다. 스크류 안내구멍(81h)의 내경은 행거스크류(70)의 외경에 맞는 크기로 형성해서 행거스크류(70)가 스크류 안내구멍(81h) 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하우징(12)에 설치되는 한 쌍의 클레비스(90); 클레비스(90)에 회전이음 되고, 회전너트(30)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장구축(95); 행거스크류(70)의 하단에 형성되고, 장구축(95)의 축선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장구축(95)에 회전이음 되는 스러스트 지지축(71)를 포함한다. 클레비스(90)는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소재로 해서 성형된 두 개의 측판(91)과 베이스 플레이트(93)로 구성할 수 있고, 두 개의 측판(91)을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킨 다음 측판(91)의 하단을 베이스 플레이트(93)에 용접할 수 있다. 클레비스(90)는 예를 들면 카메라 하우징(12)의 상면과 후면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93)에 형성된 클레비스 체결구멍(93h)과 중심이 일치되는 클레비스 고정용 탭구멍(12t)을 카메라 하우징(12)의 상면과 후면에 형성한다. 이때 클레비스 고정볼트(94)를 클레비스 체결구멍(93h)을 통해 클레비스 고정용 탭구멍(12t)에 결합하면 베이스 플레이트(93)가 카메라 하우징(12)의 표면에 밀착되면서 클레비스(90)가 카메라 하우징(12)에 설치된다. 도 5,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트 지지축(7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크로스 구멍(95h)을 장구축(95)의 축선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천공한다. 클레비스(90)의 측판(91)에 형성된 힌지구멍(91h)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원형보스(92)를 장구축(95)의 양단에 형성한다. 이 경우 측판(91)을 베이스 플레이트(93)에 용접하기 전에 원형보스(92)를 힌지구멍(91h)에 삽입한 다음 측판(91)을 장구축(95)의 양단에 밀착시킨 후 측판(91)의 하단을 베이스 플레이트(93)에 용접해야만 조립이 가능하다. 행거스크류(70)의 하단에 형성되는 스러스트 지지축(71)은 행거스크류(7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고, 스러스트 지지축(71)을 크로스 구멍(95h)에 삽입한 후 스러스트 지지축(71)의 단부에 원반 형태의 납작한 성형헤드(74)를 형성하면 스러스트 지지축(7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러스트 지지축(71)의 한쪽에 형성된 턱과 성형헤드(74)에 의해 스러스트 지지축(71)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30)는, 피벗지지판(21)의 사이에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회전블록(31); 회전블록(31)의 외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피벗지지판(21)에 회전이음 되는 한 쌍의 피벗핀(32); 회전블록(31)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안내홈(33)을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블록(31), 수직안내홈(33) 및 피벗핀(32)은 금속을 소재로 해서 모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특히 피벗핀(32)은 환봉 형태이며 서로 동일한 축선에 위치시킨다. 수직안내홈(33)은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도록 요(凹)자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수직안내홈(33)에 안내되는 하기의 하프너트(50)는 직선안내되고, 수직안내홈(33)의 안내방향은 행거스크류(70)의 축선에 대해 직각 방향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30)는, 회전블록(31)의 사이에 위치되고, 행거스크류(70)의 나사산 반쪽면을 지지하기 위한 반원홈(41)을 갖는 스크류받침(40); 스크류받침(40)의 양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수직안내홈(33)에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42)를 포함한다. 스크류받침(40)은 너트록 스프링(62)에 의해 축의 직각방향으로 힘을 받는 행거스크류(70)를 반대편에서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받침(40)은 하부커버(34)에 의해 회전블록(31)에 고정된다. 스크류받침(40)에 형성된 걸림돌기(42)는 스크류받침(40)과 회전블록(31)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걸림돌기(42)는 하프너트(50)에 형성된 슬라이드 돌기(52)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30)는, 행거스크류(70)를 사이에 두고 스크류받침(40)과 마주하면서 회전블록(31)의 사이에 위치되고, 행거스크류(70)의 나사산 반쪽면에 결합되는 반원나선홈(51)을 갖는 하프너트(50); 하프너트(50)의 양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수직안내홈(3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돌기(52)를 포함한다. 하프너트(50)는 행거스크류(70)의 나사결합을 임의로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행거스크류(70)와 하프너트(50)의 나사결합이 해제되면 행거스크류(70)를 돌리지 않고 밀거나 당겨서 하프너트(50)를 신속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하프너트(50)가 행거스크류(70)에 맞물린 상태이면, 행거스크류(7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행거스크류(7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슬라이드 돌기(52)는 하프너트(50)가 행거스크류(70)에 맞물리거나 이격될 때 회전블록(31)에 형성된 수직안내홈(33)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하프너트(5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30)는, 회전블록(31)의 하단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하부커버(34); 스크류받침(40)과 하부커버(34) 간을 연결하는 받침체결볼트(35); 회전블록(31)의 상단에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상부커버(60)를 포함한다. 하부커버(34)와 상부커버(6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을 소재로 해서 각각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부커버(34)와 상부커버(60)는 서로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부커버(34)에는 볼트체결을 위한 하부커버구멍(34h)을 형성할 수 있고, 하부커버구멍(34h)과 일치된 중심을 갖는 하부탭구멍(31b)을 회전블록(31)의 저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커버(34)를 회전블록(31)의 저면에 밀착시킨 다음 하부커버구멍(34h)을 통해 하부탭구멍(31b)에 하부커버볼트(36)를 결합해서 조이면 하부커버(34)를 회전블록(31)의 저면에 고정할 수 있다. 하부커버(34)의 중앙에는 받침체결볼트(35)를 통과시키기 위한 받침체결구멍(34a)을 천공하고, 스크류받침(40)의 저면 중앙에는 받침체결구멍(34a)과 중심이 일치되는 받침고정 탭구멍(40t)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받침체결볼트(35)를 받침체결구멍(34a)으로 삽입해서 받침고정 탭구멍(40t)에 결합하면, 스크류받침(40)이 하부커버(34)에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상부커버(60)에는 볼트체결을 위한 상부커버구멍(60h)를 형성할 수 있고, 상부커버구멍(60h)과 일치된 중심을 갖는 상부탭구멍(31a)을 회전블록(31)의 상면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커버(60)를 회전블록(31)의 상면에 밀착시킨 다음 상부커버구멍(60h)을 통해 상부탭구멍(31a)에 상부커버볼트(64)를 결합해서 조이면 상부커버(60)를 회전블록(31)의 상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30)는, 상부커버(60)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스프링시트(61); 스프링시트(61)와 하프너트(50)의 사이에 위치되고, 하프너트(50)를 행거스크류(70)를 향해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너트록 스프링(62)을 포함한다. 스프링시트(61)는 예를 들면 펀치(도시생략)와 다이(도시생략)를 이용해서 상부커버(60)의 중앙 일부분을 한쪽 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성형할 수 있다. 너트록 스프링(62)은 스프링 강선을 나선형으로 감아서 만든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너트록 스프링(62)의 일부가 스프링시트(61)의 내측에 수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너트(30)는, 하프너트(50)의 상면에 형성되는 나사구멍(50t); 스프링시트(61)의 상단에 형성되는 볼트구멍(61h); 볼트구멍(61h)을 통해 나사구멍(50t)에 결합되고, 행거스크류(7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하프너트(50)를 당겨서 나사 결합을 해제하는 릴리즈볼트(63); 행거스크류(70)에 결합되고, 스크류받침(40)과 하프너트(50)의 양단을 압박하는 한 쌍의 로크너트(72)를 포함한다. 볼트구멍(61h)과 나사구멍(50t)은 서로 중심이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하고, 릴리즈볼트(63)는 볼트구멍(61h)을 통해 너트록 스프링(62)의 중심을 통과한 다음 나사구멍(50t)에 결합된다. 로크너트(72)는 행거스크류(7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육각너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카메라 하우징(12)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된 행거스크류(70)에 결합된 로크너트(72)를 풀고 하측의 행거스크류(7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측의 행거스크류(70)가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회전너트(30)가 피벗핀(32)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동시에 장구축(95)에 형성된 원형보스(92)를 중심으로 카메라 하우징(12)과 클레비스(90)가 회전하면서 카메라 하우징(12)의 각도가 변경된다. 이후 풀어져 있던 로크너트(72)와 고정너트(83)를 조이면 변경된 카메라 하우징(12)의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행거스크류(70)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카메라 하우징(12)의 높낮이와 전후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두 개의 행거스크류(70)를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카메라 하우징(12)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12)의 높낮이와 전후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고정너트(83)를 풀고 카메라 하우징(12)을 이동시키면 양축볼트(80)가 장공(22h)을 따라 움직인다. 이후 풀어져 있던 고정너트(83)를 조이면 카메라 하우징(12)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즈볼트(63)를 돌려서 하프너트(50)를 행거스크류(7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너트록 스프링(62)은 압축되고 하프너트(50)에 형성된 반원나선홈(51)이 행거스크류(70)의 나사산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로크너트(72)를 풀면 행거스크류(70)를 돌리지 않고도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고, 행거스크류(70)의 신속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너트록 스프링(62)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릴리즈볼트(63)를 돌리면, 압축된 너트록 스프링(6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프너트(50)가 행거스크류(7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결국 하프너트(50)에 형성된 반원나선홈(51)이 행거스크류(70)의 나사산에 맞물린다. 이때 로크너트(72)를 풀어서 스크류받침(40)과 하프너트(50)로부터 멀어지게 한 다음 행거스크류(7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행거스크류(70)가 미세하게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풀어져 있던 로크너트(72)를 돌려서 조이면 행거스크류(7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10 : 겐트리 12 : 카메라 하우징
20 : 코너클램프 21 : 피벗지지판
22 : 스크류 고정암 22h : 장공
30 : 회전너트 31 : 회전블록
32 : 피벗핀 33 : 수직안내홈
34 : 하부커버 35 : 받침체결볼트
40 : 스크류받침 41 : 반원홈
42 : 걸림돌기 50 : 하프너트
50t : 나사구멍 51 : 반원나선홈
52 : 슬라이드 돌기 60 : 상부커버
61 : 스프링시트 61h : 볼트구멍
62 : 너트록 스프링 63 : 릴리즈볼트
70 : 행거스크류 71 : 스러스트 지지축
72 : 로크너트 80 : 양축볼트
81 : 스크류 각도 조절봉 81h : 스크류 안내구멍
83 : 고정너트 90 : 클레비스
95 : 장구축 본 발명은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의 유선 통신 영상인식 카메라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겐트리(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 보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코너클램프(20); 코너클램프(20)의 바깥쪽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피벗지지판(21); 피벗지지판(21)에 회전이음 되는 한 쌍의 회전너트(30); 회전너트(30)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행거스크류(70); 한 쌍의 코너클램프(20) 중 적어도 하나의 코너클램프(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 고정암(22); 스크류 고정암(22)에 형성되는 장공(22h); 스크류 고정암(22)의 사이에 위치되고, 행거스크류(70)가 관통되는 스크류 안내구멍(81h)을 갖는 스크류 각도 조절봉(81); 스크류 각도 조절봉(81)의 양단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장공(22h)을 따라 이동하는 양축볼트(80); 양축볼트(80)와 결합되고, 스크류 각도 조절봉(81)을 스크류 고정암(22)에 고정하는 고정너트(83); 카메라 하우징(12)에 설치되는 한 쌍의 클레비스(90); 클레비스(90)에 회전이음 되고, 회전너트(30)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장구축(95); 행거스크류(70)의 하단에 형성되고, 장구축(95)의 축선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장구축(95)에 회전이음 되는 스러스트 지지축(71)를 포함한다. 겐트리(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 보면서 결합되는 한 쌍의 코너클램프(20);상기 코너클램프(20)의 바깥쪽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피벗지지판(21);상기 피벗지지판(21)에 회전이음 되는 한 쌍의 회전너트(30);상기 회전너트(30)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행거스크류(70);상기 한 쌍의 코너클램프(20) 중 적어도 하나의 코너클램프(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 고정암(22);상기 스크류 고정암(22)에 형성되는 장공(22h);상기 스크류 고정암(22)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행거스크류(70)가 관통되는 스크류 안내구멍(81h)을 갖는 스크류 각도 조절봉(81);상기 스크류 각도 조절봉(81)의 양단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공(22h)을 따라 이동하는 양축볼트(80);상기 양축볼트(80)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각도 조절봉(81)을 상기 스크류 고정암(22)에 고정하는 고정너트(83);카메라 하우징(12)에 설치되는 한 쌍의 클레비스(90);상기 클레비스(90)에 회전이음 되고, 상기 회전너트(30)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갖는 장구축(95);상기 행거스크류(7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장구축(95)의 축선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장구축(95)에 회전이음 되는 스러스트 지지축(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의 유선 통신 영상인식 카메라 고정대.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너트(30)는, 상기 피벗지지판(21)의 사이에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회전블록(31);상기 회전블록(31)의 외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피벗지지판(21)에 회전이음 되는 한 쌍의 피벗핀(32);상기 회전블록(31)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안내홈(33);상기 회전블록(31)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행거스크류(70)의 나사산 반쪽면을 지지하기 위한 반원홈(41)을 갖는 스크류받침(40);상기 스크류받침(40)의 양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직안내홈(33)에 삽입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42);상기 행거스크류(7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크류받침(40)과 마주하면서 상기 회전블록(31)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행거스크류(70)의 나사산 반쪽면에 결합되는 반원나선홈(51)을 갖는 하프너트(50);상기 하프너트(50)의 양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직안내홈(33)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돌기(52);상기 회전블록(31)의 하단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하부커버(34);상기 스크류받침(40)과 상기 하부커버(34) 간을 연결하는 받침체결볼트(35);상기 회전블록(31)의 상단에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상부커버(60);상기 상부커버(60)에 형성되는 중공형의 스프링시트(61);상기 스프링시트(61)와 상기 하프너트(50)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하프너트(50)를 상기 행거스크류(70)를 향해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는 너트록 스프링(62);상기 하프너트(50)의 상면에 형성되는 나사구멍(50t);상기 스프링시트(61)의 상단에 형성되는 볼트구멍(61h);상기 볼트구멍(61h)을 통해 상기 나사구멍(50t)에 결합되고, 상기 행거스크류(7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프너트(50)를 당겨서 나사 결합을 해제하는 릴리즈볼트(63);상기 행거스크류(70)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받침(40)과 하프너트(50)의 양단을 압박하는 한 쌍의 로크너트(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의 유선 통신 영상인식 카메라 고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