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HT GUIDE PLATE UNIT, BACKLIGHT UNIT COMPRIS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19-10-2017 дата публикации
Номер:
WO2017179923A1
Принадлежит: 주식회사 엘지화학
Контакты:
Номер заявки: KR40-00-201704
Дата заявки: 13-04-2017

도광판 유닛,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1]

본 출원은 2016년 04월 15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6-0046470호 및 2017년 4월 12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7-0047317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2]

본 출원은 도광판 유닛,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3]

액정표시장치는 소비전력이 낮고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소형화뿐만 아니라 대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그 크기에 상관없이 동화상 표시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4]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하지 못하므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이외에 상기 액정 패널 하부에 장착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5]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후면에 빛을 비춰주는 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에 영상정보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생시키기 위한 광원,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액정패널 쪽으로 안내하는 도광판으로 구성된다. 도광판의 하부에는 반사판이 더 설치되어 도광판의 하부로 공급되는 광을 반사판을 통해 상부의 액정패널로 공급한다.

[6]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을 얇게 만들기 위해서는 반사판과 도광판을 최대한 가깝게 붙여야 한다. 도광판과 반사판이 완전히 붙어있는 경우, 도광판 내부 전반사가 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도광판 하면에 도광판보다 굴절율이 낮은 층이 확보되어야 한다.

[7]

본 출원은 접착층에 비드를 포함함으로써, 반사판과 도광판 사이의 두께가 일정한 도광판 유닛,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8]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 상부에 구비되고 비드를 포함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부에 구비되는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비드는 크기가 5μm 내지 30μm인 도광판 유닛을 제공한다.

[9]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도광판 유닛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10]

본 출원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11]

본 출원에 기재된 실시상태들에 따르면, 접착층이 5μm 내지 30μm 크기의 비드를 포함한다. 상기 비드에 의하여 접착층의 두께 및 폭이 조절됨으로써, 도광판과 반사판 사이의 두께 및 접착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층의 두께만큼 도광판의 하면에 공기층을 확보되어 도광판의 전반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12]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상태에 따른 도광판 유닛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13]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상태에 따른 접착층 패턴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14]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상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15]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상태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16]

도 5 및 도 6은 실시예에서 제조된 접착층의 형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17]

도 7 및 도 8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접착층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18]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접착층 형태 변화를 예시한 것이다.

[19]

10: 반사판

[20]

20: 비드

[21]

30: 접착층

[22]

40: 도광판

[23]

50: 광원

[24]

60: 패턴

[25]

70: 액정 패널

[26]

a: 입광부

[27]

b: 반입광부

[28]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29]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도광판 유닛은 반사판, 상기 반사판 상부에 구비되고 비드를 포함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부에 구비되는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비드의 크기는 5μm 내지 3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30]

도 1에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도광판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31]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크기가 5μm 내지 30μm 이다. 상기 비드의 크기는 비드의 최대 직경 값을 의미하며, 상기 비드의 크기는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32]

비드의 크기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접착층의 두께 및 폭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도광판과 반사판 사이가 일정 두께가 유지되고, 접착력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층의 두께만큼 도광판 하면에 공기층을 확보함으로써 도광판의 전반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33]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패턴 형태로 구비된다.

[34]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돌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패턴의 돌출된 형태가 도트 모양일 수 있다.

[35]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패턴은 둘 이상의 패턴이 이격 배치되어 있다.

[36]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입광부 쪽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이 반입광부 쪽의 패턴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패턴은 입광부에서 반입광부 쪽으로 갈수록 패턴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도 2에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접착층의 패턴 형태를 예시하였다.

[37]

상기 접착층에서 입광부 쪽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이 반입광부 쪽의 패턴보다 크기가 작은 경우,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상기 패턴이 입광부에서 반입광부 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질 경우, 입광부 쪽보다 반입광부 쪽의 접착제 폭이 커지므로, 반입광부 쪽의 광원의 양이 적더라도, 휘도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38]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입광부 쪽과 반입광부 쪽의 패턴의 크기가 같으나, 그 밀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패턴은 입광부 쪽에서 반입광부 쪽으로 갈수록 패턴의 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는 것은 패턴간 간격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39]

상기 접착층에서 입광부 쪽에서 반입광부 쪽으로 갈수록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는 경우,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상기 접착층의 패턴간 간격이 입광부에서 반입광부 쪽으로 갈수록 작아질 경우, 반입광부 쪽의 광원의 양이 적더라도, 휘도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40]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입광부는 도광판에서 광원이 조사되는 쪽을 의미하며, 상기 반입광부는 도광판에서 광원이 조사되는 쪽의 반대쪽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2에서 a는 도광판에서 광원이 조사되는 쪽, 즉, 입광부를 나타내며, b는 도광판에서 광원이 조사되는 쪽의 반대쪽, 즉, 반입광부를 의미한다.

[41]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드의 크기가 5μm 내지 30μm일 경우, 접착층의 패턴 간에 겹침 없이, 패턴 형상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입광부와 반입광부 간의 패턴의 크기 차이 및/또는 패턴의 밀도 차이에 따른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42]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패턴은 스크린 프린팅, 그라비아 프린팅 또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의 패턴은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43]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매트리스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매트리스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로는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 실록산 수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매트리스 수지는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 실록산 수지 및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당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접착층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 외에 가교제 및 경화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 및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 및 라디칼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4]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광산란 입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산란 입자는 TiO2또는 SiO2일 수 있다.

[45]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비드와 매트리스 수지를 포함하고, 무용제타입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층에 포함되는 매트리스 수지가 무용제 타입일 수 있다.

[46]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무용제 타입이란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47]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매트리스 수지는 무용제 타입으로 용매를 건조하는 공정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용매를 포함하는 공정에 비하여 공정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용제 타입의 매트리스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용매의 증발로 인한 도트 크기 변화를 방지하고, 스크린 메쉬의 막힘을 방지하며 인쇄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48]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5μm 내지 30μm이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반사층의 표면으로부터 접착층이 가장 높이 형성된 부분 사이의 두께를 측정한 값을 의미하며, 상기 비드의 크기는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49]

접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도광판과 반사판 사이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도광판과 반사판 사이의 두께를 5μm 내지 30μm의 범위 내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50]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유기 비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비드를 포함한다. 상기 비드의 함량은 상기 매트리스 수지 대비 0.5phr 내지 5phr이다. 비드의 함량이 0.5phr 미만일 경우, 도광판과 반사판 사이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비드의 함량이 5phr 초과일 경우, 접착층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51]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크기가 50μm 내지 1000μm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의 크기는 50μm 내지 800μm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의 크기는 50μm 내지 700μm이다. 상기 패턴의 크기는 패턴의 직경이 가장 긴 부분을 측정한 값이며, 패턴의 크기는 고배율 렌즈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52]

패턴의 크기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면방향 휘도가 균일한 효과가 있다. 상기 패턴의 크기는 패턴의 직경이 가장 긴 부분을 측정한 값이다.

[53]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패턴간 간격은 100μm 내지 3000μm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간 간격은 100μm 내지 2500μm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간 간격은 100μm 내지 2000μm이다. 상기 패턴간 간격은 상기 패턴간 간격은 각 패턴의 중심부와 중심부 간의 거리를 측정한 값이며, 패턴의 간격은 고배율 렌즈를 통해 측정 될 수 있다.

[54]

패턴간 간격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각 패턴 형태가 광확산 필름 및 프리즘 시트 등을 통과한 후에 은폐되어 부드럽게 관찰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패턴간 간격은 각 패턴의 중심부와 중심부 간의 거리를 측정한 값이다.

[55]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당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산화티타늄(TiO2)나, 산화칼슘(CaO) 등의 무기필러들이 포함되거나 기재 내부에 형성된 기공에 의해 반사 특성이 향상된 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의 두께는 50μm 내지 500μm이다.

[56]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당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리 도광판이 사용될 수 있다.

[57]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도광판 유닛은 백라이트 유닛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58]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도광판 유닛에서 도광판의 일 면에 광원이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은 측쇄형 광원일 수 있다. 도 3에는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예시하였다.

[59]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된다. 이 액정표시장치로는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것이라면 특별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에서 접착층이 구비되지 않은 도광판의 일면에 액정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는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고,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필요한 경우 편광판 또는 추가의 필름, 예컨대 위상차 필름, 집광 시트, 확산 필름, 등이 더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60]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61]

실시예 1

[62]

매트리스 수지로서 UV 접착제를, 비드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광산란입자로 TiO2를 사용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조성물을 도광판 상에 스크린 프린팅 하였다.

[63]

구체적으로, UV 접착제 대비 1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1phr, 200nm 수준의 TiO2 1phr을 배합하여 도광판 상에 스크린 프린팅 하였다.

[64]

실시예 2

[65]

UV 접착제 대비 5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1phr, 200nm 수준의 광산란입자 TiO2 1phr을 배합하여 도광판 상에 스크린 프린팅 하였다.

[66]

실시예 3

[67]

UV 접착제 대비 5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1phr을 도광판 상에 스크린 프린팅 하였다.

[68]

실시예 4

[69]

UV 접착제 대비 5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5phr, 200nm 수준의 TiO2 1phr을 배합하여 도광판 상에 스크린 프린팅 하였다.

[70]

실시예 5

[71]

UV 접착제 대비 7μm 크기의 폴리스타이렌(PS) 입자 3phr, 200nm 수준의 TiO2 1phr을 배합하여 도광판 상에 스크린 프린팅 하였다.

[72]

실시예 6

[73]

UV 접착제 대비 15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0.5phr, 200nm 수준의 TiO2 1phr을 배합하여 도광판 상에 스크린 프린팅 하였다.

[74]

실시예 7

[75]

UV 접착제 대비 28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0.5phr, 200nm 수준의 TiO2 1phr을 배합하여 도광판 상에 스크린 프린팅 하였다.

[76]

비교예 1

[77]

UV 접착제가 비드를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78]

비교예 2

[79]

UV 접착제 대비 3μm 크기의 폴리스타이렌(PS) 입자 2phr, 200nm 수준의 TiO2 1phr을 배합하여 도광판 상에 스크린 프린팅 하였다.

[80]

비교예 3

[81]

UV 접착제 대비 40μm 크기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0.5phr, 200nm 수준의 TiO2 1phr을 배합하여 도광판 상에 스크린 프린팅 하였다.

[82]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패턴 형상 및 접착력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83]

접착층의 접착력은 ASTM D3330에서 수정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180° 박리 시험(peel test)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박리 속도는 500mm/min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서는 접착력 실험 결과 측정 후에 접착된 부분의 파열되었을 경우를 O로, 그렇지 못하였을 경우를 X로 표시하였다.

[84]

유기비드TiO2 200nm패턴 형상접착력접착층 두께
종류크기(μm)함량(phr)함량(phr)
실시예 1PMMA1011OO10
실시예 2PMMA511OO5
실시예 3PMMA510OO5
실시예 4PMMA551OO5
실시예 5PS731OO7
실시예 6PMMA150.51OO15
실시예 7PMMA280.51OO28
비교예 1---1XO1~5
비교예 2PS321XO3
비교예 3PMMA400.51XX40

[8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5μm 내지 30μm 크기의 비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7은 패턴 형상도 균일하고, 접착력도 나타내는데 비해, 비드를 포함하지 않거나, 비드의 크기가 5μm 내지 30μm을 벗어나는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일부분에서 패턴끼리 겹치는 등 패턴이 균일하지 못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86]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접착층의 형태를 고배율 렌즈(Micro-UV사, EXCEL 4220)로 측정하여 각각 도 5,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87]

도 5 및 도 6의 접착층은 비드가 첨가되어 패턴이 비드 두께 이상으로 눌리지 못하고, 일정 두께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7의 접착층은 접착제가 넓게 퍼져 패턴의 크기가 커지고, 일부분에서 패턴끼리 겹쳐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내지 7은 고배율 렌즈 측정 결과 실시예 1 및 2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88]

상기 비교예 3의 접착층의 형태를 고배율 렌즈(KEYENCE사, VK-X Series)로 측정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서 점선은 접착제 인쇄시의 패턴을 나타낸 것이고, 내부 원(실선)은 반사판과 도광판의 접착 후 접착제가 남은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8로부터 패턴 크기가 반사판과 도광판을 접착한 후에 축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와 달리, 비교예 3의 경우, 크기가 큰 비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층이 눌리지 못하고 매트리스 수지가 퍼지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 결과 패턴 크기가 축소됨에 따라 접착 면적이 감소되며, 접착력이 감소하게 된다.

[89]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3에 따른 접착층 형태 변화를 예시하였다. 도 9에서 (a)는 실시예 1 내지 7에 따른 접착층 형태 변화를 예시한 것으로, 도광판 상에 5μm 내지 30μm 크기의 유기 비드가 포함된 접착층을 패턴 형태로 도포하고, 반사판을 적층하였을 경우, 패턴 크기 변화 없이 접착층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9에서 (b)는 비교예 3에 따른 접착층 형태 변화를 예시한 것으로, 도광판 상에 크기가 큰 유기 비드가 포함된 접착층을 패턴 형태로 도포하고, 반사판을 적층하였을 경우, 비드의 크기로 인하여 접착층이 눌리지 못하고 매트리스 수지가 퍼지지 못함으로써, 패턴 크기 및 접착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9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 유닛 내에 5μm 내지 30μm 크기의 유기 비드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함으로써 도광판과 반사판 사이의 접착력이 유지되고, 접착층의 두께가 균일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면방향 휘도가 균일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1]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light guide plate unit, a backlight unit comprising the light guide plate uni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the light guide plate unit comprising: a reflection plate; an adhesive layer which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reflection plate and includes beads; and a light guide plate which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adhesive layer.

[2]



반사판;

상기 반사판 상부에 구비되고 비드를 포함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부에 구비되는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비드는 크기가 5μm 내지 30μm인 것인 도광판 유닛.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비드인 것인 도광판 유닛.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패턴 형태로 구비되는 것인 도광판 유닛.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도트 모양인 것인 도광판 유닛.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크기가 50μm 내지 1000μm인 것인 도광판 유닛.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턴간 간격이 100μm 내지 3000μm인 것인 도광판 유닛.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두께가 5μm 내지 30μm인 것인 도광판 유닛.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매트리스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도광판 유닛.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수지는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 실록산 수지 및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도광판 유닛.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비드와 매트리스 수지를 포함하고, 무용제 타입인 것인 도광판 유닛.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도광판 유닛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청구항 11의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