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 추출물 및 오일 조성물이 코팅된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허브 추출물 및 오일 조성물이 코팅된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양이나 강아지와 같은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서, 이와 관련한 제품에 대한 시장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중에서도, 변려동물의 잠자리나 놀이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방석 위주로 개발되어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강아지와 달리 고양이는 예민한 동물이기 때문에 천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방석을 마련해 주어도 잘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골판지 등과 같은 종이에는 상당한 흥미를 나타내는 습성이 있다. 이에 따라, 택배 상자나 기타 종이 박스 등을 집 안에 배치시켜 방석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종이 박스의 경우 위생적이지 못하고 내부 인테리어의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고양이용 종이방석이 인기를 끌고 있기도 하지만 역시 종이로 제조한 형태라는 점에서 수분이 닿았을 때 쉽게 젖어버리거나 젖고 건조되는 것을 반복하면서 미관상 좋지 않은 얼룩이 생기며 종이소재라는 점에서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좀벌레가 생기기도 하며, 습기를 머금을 경우 악취를 풍기기도 하는 단점이 발생하곤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종이방석 제조 공정 이후 항균성을 갖는 다양한 허브 추출물을 분무하고, 연달아 오일 조성물을 재분무하여 종이 소재가 갖는 물에 약한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허브 추출물 및 오일 조성물이 코팅된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허브 추출물 및 오일 조성물이 코팅된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제1단계) 개박하, 곡물의 새싹, 바질, 개다래나무,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펜넬의 혼합물을 용매 추출하여 허브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2단계) 상기 허브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하여 고양이용 종이 방석에 분사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제3단계) 분사된 허브 추출물이 건조된 후, 고양이용 종이 방석에 코코넛 오일 및 밀랍이 함유된 오일 조성물을 분사하고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일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곡물은 밀, 보리 및 귀리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의 고양이용 종이방석은 종이재질로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앙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고양이의 신체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허브 추출물은 농축물 중량의 10~5000배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현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단계에서 허브 추출물의 분사 시간은 4~6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 추출물이 종이방석에서 건조되면 분사 과정을 1~2회 더 반복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허브 추출물은 0.2~1mm의 지름을 갖는 미세홀이 구비된 스프레이를 통해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단계에서 오일 조성물의 분사 시간은 2~3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단계에서 오일 조성물은 0.2~0.5mm의 지름을 갖는 미세홀이 구비된 스프레이를 통해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단계의 허브 추출물은 개박하 100 중량부 기준으로 곡물의 새싹 40~60 중량부, 바질 60~80 중량부, 개다래나무 50~70 중량부, 로즈마리 30~50 중량부, 카모마일 20~40 중량부 및 펜넬 10~20 중량부가 함유된 허브 혼합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허브 추출물은 추출 후 감압 증류하여 농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의 용매는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C1~C4 알코올의 수용액일 수 있으며, C1~C4 알코올의 50~80%(v/v) 수용액,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의 50~80%(v/v)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에탄올은 식용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오일 조성물은 코코넛오일 100 중량부 기준 밀랍 10~2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고, 65~70℃로 녹여 액화된 상태의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양이용 종이방석의 소재는 펄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 추출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은 허브 혼합물사용 중량 기준 1~40배 부피(1kg 기준 1~40ℓ)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40배 부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허브 혼합물의 추출조건은 20~100℃에서 1분~48시간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은 1~4번까지 반복할 수 있다. 상기 허브 추출물의 제조온도는 20 내지 1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 또는 분획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분 내지 2일 이내에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허브 추출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감압증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허브 추출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허브 추출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허브 추출물이 코팅된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종이방석은 천이나 플라스틱에 비해 종이 재질에 상당한 흥미를 나타내는 고양이의 습성으로 인하여 많은 고양이 반려인들이 구입하고 있지만, 물에 젖기 쉽고 여름철 습기로 인해 부패하여 냄새가 나거나 좀벌레가 생기기도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고양이용 방석은 고양이에게 무해하한 식물로부터 채취한 식물성 항균 추출물과 오일 조성물의 도포를 통해 항균성, 부패취 방지, 발수성, 기호성, 심신 안정성 등의 특징을 갖게 되어 고양이가 안정을 취할 수 있는 휴식공간이나 놀이공간으로 제공가능하다. 게다가 종이 방석이 일정한 캐릭터 형태를 갖추고 있어 실내 인테리어용으로도 적합하며 종이와 친환경 소재로 제작되어 언제든지 쉽게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고양이용 종이 방석에 적용한 허브 추출물과 오일 조성물은 고양이에 해를 끼치지 않는 천연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되었기에 일부 종이를 물어뜯는 습성이 있는 고양이에게도 전혀 유해하지 않는 친환경 종이 방석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허브 추출물이 코팅된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고양이 얼굴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종이 방석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양이 몸체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종이 방석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양이 얼굴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종이 방석 제품의 일 예시이다.
도 5는 고양이 몸체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종이 방석 제품의 일 예시이다. 본 발명의 고양이용 종이 방석의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종이방석의 사시도 예시로서, 바디부(200)와 안착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200)는 친환경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는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친환경 잉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도록 형성하거나, 내부나 외부에 그림을 인쇄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00)는 바디부의 중앙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부분으로서, 반려동물의 신체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평한 형상의 종이를 금형에서 사출하는 방법으로 내부의 안착부(100)과 외부의 바디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의 형상은 사출금형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이 방석에 안착부(100)를 형성하는 경우 고양이가 안착부(100)에 들어가 편히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종이 방석의 안착부(100)는 고양이가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발톱을 스크래치 할 수 있도록 요철부(400, 스크래처 라고도 함)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00)의 일측에는 고양이가 얼굴을 거치하면서 쉴 수 있는 거치부(3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실제 제조된 고양이용 종이방석의 제품 사진은 도 4 및 도 5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종이방석은 전체가 비교적 단가가 저렴한 종이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고, 재활용 쓰레기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천연 펄프 및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고양이 방석을 제조하기 때문에 위생적이며, 일정 모양을 갖추고 있어 내부 인테리어를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제조예 1. 고양이용 종이 방석의 제조> 펄프를 이용하여 고양이 얼굴 또는 몸체 형태를 갖는 금형을 이용하여 도 2(가로 길이 34cm, 세로 길이 27cm, 높이 12cm) 및 도 4의 종이방석(가로 길이 중 얼굴 18cm/허리 19cm/하반신 34cm, 세로 길이 35cm, 높이 12cm)을 제조하였다(종이 두께 1~2mm). <실시예 1 내지 6. 허브 추출물 및 오일 조성물의 제조 및 고양이용 종이 방석 코팅> 개박하, 곡물의 새싹, 바질, 개다래나무,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펜넬을 다음의 표 1의 중량부와 같이 혼합하여 10배 중량의 70%(v/v)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한 후 25℃에서 8시간 동안 반응한 후 거름종이로 걸러내어 건더기를 제거하고 감압증류하여 농축물 상태의 허브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농축물은 각 중량의 100배 중량의 증류수에 현탁하였다. 이 후 표 1의 중량부와 같이 코코넛 오일에 밀랍을 혼합한 후 65℃로 녹여 오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증류수에 현탁된 허브 추출물과 오일 조성물을 스프레이하여 종이방석의 표면에 매우 미세하고 얇게 코팅되게 하였다. 이 때 허브 추출물은 0.5mm의 지름을 갖는 미세홀, 오일 조성물은 0.3mm의 지름을 갖는 미세홀을 구비한 스프레이로 분사하였다. 각 분사시간은 역시 표 1을 참고하였다. 스프레이판은 각 종이방석보다 더 큰 표면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내지 13. 비교 조건 허브 추출물 및 오일 조성물의 제조 및 고양이용 종이 방석 코팅> 하기 표 2의 중량부와 같이 허브 추출물과 오일 조성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1의 방법대로 고양이용 종이 방석에 스프레이 분사하여 이들을 코팅하였다. <실험예 1. 각 종이방석 시편의 항균성 확인> 병원성 세균인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측정 결과 실시예 1 내지 5의 종이방석 시편의 항균 효과가 유해 세균에 대한 항균기능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종이방석 시편의 부패방지 및 이취 발생 억제 효과> 이번에는 종이방석 시편 5cm x 5cm로 준비하여 증류수에 담근 후 건조하고, 이를 32℃ 상대습도 98%, 37℃인 곳에 24시간 두어 여름철의 고온다습한 환경이나 물기로 인한 오염 등의 조건에서 종이방석의 상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는 육안 관찰과 냄새 확인으로 알 수 있기에 상태를 5점 평점(5점:매우 좋음, 4점:좋음, 3점:보통, 2점:약간나쁨, 1점:매우나쁨)으로 나타내게 하였다. 각 시편은 실험군별로 총 10개씩 준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예. 고양이의 머무름 시간 비교> 종이방석 사용시간이 많은 고양이들을 각 군별로 3마리씩 실험하였다. 각 실험방의 수직공간의 맨 윗층에 하기 표 5와 같이 종이방석을 두고 1일 평균 머무름 시간을 두게 하였다. 이 때, 각 고양이에게 표 5의 종이방석 외에 코팅을 전혀 하지 않은 비교예 11의 일반 종이방석을 같은 공간에 두어 머무름의 선택을 하게 하였다. 확인 결과, 표 5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허브 추출물과 오일 조성물이 코팅된 종이 방석이 일반 종이 방석에 비해 머무름 시간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발명의 방법이 고양이용 종이 방석에 항균성이나 오염 방지 기능 외에 고양이에게 보다 편안한 휴식처로 인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종이 방석을 사용한지 1개월이 지나도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종이 방석에서는 머무름 시간이 비슷하게 유지되어 허브 추출물 분사 이후 오일 조성물을 분사하여 코팅하는 방법을 통해 고양이에게 기호성을 주는 유효성분이 종이 방석 내에 오랫동안 잔류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인 것으로도 파악된다. 100 : 안착부
200 : 바디부
300 : 거치부
400 : 요철부 본 발명은 허브 추출물이 코팅된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종이방석은 천이나 플라스틱에 비해 종이 재질에 상당한 흥미를 나타내는 고양이의 습성으로 인하여 많은 고양이 반려인들이 구입하고 있지만, 물에 젖기 쉽고 여름철 습기로 인해 부패하여 냄새가 나거나 좀벌레가 생기기도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고양이용 방석은 고양이에게 무해하한 식물로부터 채취한 식물성 항균 추출물과 오일 조성물의 도포를 통해 항균성, 부패취 방지, 발수성, 기호성, 심신 안정성 등의 특징을 갖게 되어 고양이가 안정을 취할 수 있는 휴식공간이나 놀이공간으로 제공가능하다. 게다가 종이 방석이 일정한 캐릭터 형태를 갖추고 있어 실내 인테리어용으로도 적합하며 종이와 친환경 소재로 제작되어 언제든지 쉽게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1단계) 개박하, 곡물의 새싹, 바질, 개다래나무, 로즈마리, 카모마일 및 펜넬의 혼합물을 용매 추출하여 허브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2단계) 상기 허브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하여 고양이용 종이 방석에 분사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제3단계) 분사된 허브 추출물이 건조된 후, 고양이용 종이 방석에 코코넛 오일 및 밀랍이 함유된 오일 조성물을 분사하고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고양이용 종이방석은 종이재질로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중앙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고양이의 신체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허브 추출물의 분사 시간은 4~6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추출물이 종이방석에서 건조되면 분사 과정을 1~2회 더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허브 추출물은 0.2~1mm의 지름을 갖는 미세홀이 구비된 스프레이를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오일 조성물의 분사 시간은 2~3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오일 조성물은 0.2~0.5mm의 지름을 갖는 미세홀이 구비된 스프레이를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의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용 항균 종이 방석.단위 중량부 초 중량부 초 원료 개박하 귀리새싹 바질 개다래나무 로즈마리 카모마일 펜넬 추출물 총 중량부 분사시간 코코넛오일 밀랍 분사시간 실시예 1 100 50 70 60 50 30 15 375 5 100 15 3 실시예 2 100 60 75 55 30 35 20 375 5 100 10 3 실시예 3 100 90 65 50 40 20 10 375 5 100 20 3 실시예 4 100 40 80 70 45 30 10 375 5 100 15 3 실시예 5 100 60 60 50 50 40 15 375 5 100 15 3 실시예 6 100 50 70 60 50 30 15 375 5 100 15 4 단위 중량부 초 중량부 초 시료 개박하 귀리새싹 바질 개다래나무 로즈마리 카모마일 펜넬 추출물 총 중량부 분사시간 코코넛오일 밀랍 분사시간 비교예 1 200 0 0 175 0 0 0 375 5 100 15 3 비교예 2 0 100 75 0 50 50 100 375 5 100 15 3 비교예 3 100 30 30 10 10 100 95 375 5 100 15 3 비교예 4 100 80 20 100 10 50 15 375 5 100 15 3 비교예 5 100 0 100 0 100 75 0 375 5 100 15 3 비교예 6 100 50 70 60 50 30 15 375 5 115 0 3 비교예 7 100 50 70 60 50 30 15 375 5 0 115 3 비교예 8 100 50 70 60 50 30 15 375 5 50 65 3 비교예 9 100 50 70 60 50 30 15 375 5 - - - 비교예 10 - - - - - - - - - 100 15 3 비교예 11 - - - - - - - - - - - - 비교예 12 100 50 70 60 50 30 15 375 5 100 15 6 비교예 13 100 50 70 60 50 30 15 375 5 100 15 1 종이방석 시편 대장균 (mm) 스태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mm) 실시예 1 4 5 실시예 2 5 6 실시예 3 5 6 실시예 4 4 8 실시예 5 7 6 비교예 1 1 - 비교예 2 - 1 비교예 3 1 2 비교예 4 2 1 비교예 5 1 1 종이방석 시편 이취 억제 물기 얼룩 억제 실시예 1 4 4 실시예 2 4 4 실시예 3 4 4 실시예 4 4 4 실시예 5 4 4 실시예 6 4 4 비교예 1 3 3 비교예 2 3 3 비교예 3 3 3 비교예 4 3 3 비교예 5 3 3 비교예 6 3 4 비교예 7 3 4 비교예 8 3 4 비교예 9 3 4 비교예 10 1 4 비교예 12 4 4 비교예 13 4 3 종이방석 일반 종이 방석 대비 머무름 시간 비 사용 일주일 후 사용 1개월 후 실시예 1 1 : 4.62 1 : 4.31 실시예 2 1 : 3.42 1 : 3.10 실시예 3 1 : 3.23 1 : 3.21 실시예 4 1 : 3.20 1 : 3.12 실시예 5 1 : 3.85 1 : 3.42 실시예 6 1 : 3.22 1 : 3.21 비교예 1 1 : 2.34 1 : 1.54 비교예 2 1 : 0.73 1 : 0.51 비교예 3 1 : 2.51 1 : 1.71 비교예 4 1 : 2.82 1 : 1.52 비교예 5 1 : 1.45 1 : 1.32 비교예 6 1 : 2.56 1 : 1.31 비교예 7 1 : 2.93 1 : 1.52 비교예 8 1 : 2.89 1 : 1.33 비교예 9 1 : 1.85 1 : 1.12 비교예 10 1 : 0.52 1 : 0.51 비교예 12 1 : 0.05 1 : 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