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학제 진료 시스템 및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본 발명은 다학제 진료 시스템 및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병원에서 다학제 진료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non-DICOM)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및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빠르게 통합 관리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학제 통합 진료를 지원할 수 있는, 다학제 진료 시스템 및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학제 진료를 통한 치료는, 여러 진료과 의사가 모여 동시에 환자 상태를 상담하고 어떤 방식으로 수술 치료를 진행할 것인지를 논의하는 치료 방식으로, 환자는 치료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한 자리에서 해결할 수 있고, 의료진은 진료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시간, 비용 모두를 절약할 수 있다. 특히, 암 진단 후 정신적, 심리적 큰 혼란을 겪는 암 환자 대부분은 어느 병원, 어느 과, 어느 의사에게 진료를 받아야 하는지,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수 많은 선택의 갈림길에 서는데, 이 과정에서 정확하지 않은 인터넷 정보나 지인들의 말들이 오히려 치료 선택에 독이 되기도 한다. 그와 같은 환자들에게 다학제 치료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여러 전문가들의 조언을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최근 다학제 진료를 통한 치료는, 통상 암 환자와 같은 중증 환자를 치료할 때 많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큰 장점과 효과를 갖고 있는 다학제 치료임에도 불구하고, 종래 다학제 진료시에, 기존에 사용하던 방사선학과의 시스템, 방사선 종양학과의 시스템, 병리학과의 시스템 등 각각 병원 내 서로 다른 시스템을 접속하여 의학적 판단을 위해 핵심이 되는 각 시스템의 영상들을 일일이 찾아 들어가서 띄워야 하는 등 비효율적인 관행을 지속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관련하여,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다학제 진료를 위한 시스템이 전무한 상황이며, 국내외 관련 특허문헌도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일부 관련 특허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1866호(2020.03.16 등록, 발명의 명칭 :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기능향상을 위한 다학제 통합기능케어 시스템(Integrated function care system for function recovery of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에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잔존 기능을 확인하는 잔존 기능 확인부; 상기 잔존 기능에 기초하여 유형을 분류하는 유형 분류부; 상기 유형에 기초하여 각 유형에 따라 상이한 우선순위를 갖는 제1 문제 리스트를 복수의 전문가 단말에 제공하는 제1 문제 리스트 제공부; 상기 개별 환자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문제 리스트의 항목별 우선순위를 상기 복수의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우선순위의 평균 점수를 산출하는 우선순위 산출부; 상기 우선순위의 평균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문제 리스트를 재정렬한 제2 문제 리스트를 상기 복수의 전문가 단말에 제공하는 제2 문제 리스트 제공부; 를 포함하는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기능향상을 위한 다학제 통합기능케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부의 관련 특허문헌에서도, 병원에서 다학제 진료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및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빠르게 통합 관리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학제 통합 진료를 지원할 수 있는, 다학제 진료 시스템 및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등에 대한 문제 의식은 전혀 없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에서 다학제 진료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및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빠르게 통합 관리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학제 통합 진료를 지원할 수 있는, 다학제 진료 시스템 및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은, 다학제 통합 진료를 지원하는 다학제 진료 시스템으로서, 영상의학, 심장의학 또는 방사선종양학 모댈리티에서 획득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를 저장하고,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뷰어에 대해서 연동하는 복수 개의 PACS부; 안과 장비, 뇌파 측정 장비, 이비인후과 장비, 심전도 장비, 초음파 장비, 현미경 장비, 내시경 장비를 포함한 모댈리티로부터 획득한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뷰어에 대해서 연동하는 복수 개의 논다이콤(non-DICOM)부; 홀 슬라이드 스캐너에서, 병리 검체 슬라이드에 대한 서로 다른 배율로 디지털 스캐닝하여 획득한, 홀 슬라이드 이미지를 포함한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디지털 병리부;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입력, 저장, 관리하는 전자의무기록부; 상기 PACS부, 상기 논다이콤부, 상기 디지털 병리부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부에서 제공받은 서로 다른 벤더(vendor)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호환이 가능하게 저장하는 벤더 중립부; 및 상기 벤더 중립부를 거쳐서 제공받은 상기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상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상기 디지털 병리 데이터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을 통합 관리하여 제공하는 다학제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은, 상기 전자의무기록부를 통해서, 진료예약시간, 환자등록번호, 환자이름, 환자 성별, 환자 나이 또는 생년월일, 및 대표 진료의를 포함하는 다학제 진료를 예약하는 단계(S100); 예약된 다학제 진료와 관련된 복수의 의료진 단말로, 다학제 진료 예약을 알리는 단계(S200); 상기 복수의 의료진 단말은, 상기 복수의 의료진의 선택에 따라서,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벤더 중립부를 거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학제부는 다학제 통합 진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의료진이 영상의학과 또는 심장의학과인 경우에는, 상기 PACS부에서 조회된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이 병리학과인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 병리부에서 조회된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이 영상의학과, 심장의학과 또는 병리학과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논다이콤부에서 조회된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업로드함으로써,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선택한 경우, 사전에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해당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디지털 병리 데이터와 세트(set)가 되는 다른 데이터가 선택되지 않더라도, 같이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400단계에서는, 상기 다학제부가, 상기 환자의 진단코드 또는 진단명에 대응하는 환자 교육 자료를 조회하여, 상기 조회된 환자 교육 자료를 포함하여 상기 다학제 통합 진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학제부는, 다학제 진료 이후 다학제 진료 결과를 입력받아 다학제 결과 리포트가 작성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500단계는, 상기 다학제 통합진료의 시간 및 장소, 치료 방침 및 결정 사유, 환자에게 설명한 내용을 포함한 기록을 상기 전자의무기록부 또는 상기 다학제부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된 상기 전자의무기록부 또는 상기 다학제부에 대해서, 상기 다학제 통합진료에 참여한 모든 의사의 전자 서명이 기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뷰어에서, 해당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주석(annotation)으로 같이 제공하는 단계(S610); 상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뷰어에서, 해당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주석으로 같이 제공하는 단계(S620); 또는 상기 디지털 병리 시스템에서, 해당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주석으로 같이 제공하는 단계(S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상기 벤더중립부를 통해서, 상기 PACS부로 전송하여, 상기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S610');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상기 벤더중립부를 통해서, 상기 논다이콤부로 전송하여, 상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S620'); 또는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상기 벤더중립부를 통해서, 상기 디지털 병리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S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학제부는, 상기 복수의 의료진의 선택에 따라서 수신한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 이외에, 추가적인 영상을 조회할 수 있도록, 상기 PACS부, 상기 논다이콤부, 및 상기 디지털 병리부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을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은, 상기 전자의무기록부를 통해서, 진료예약시간, 환자등록번호, 환자이름, 환자 성별, 환자 나이 또는 생년월일, 및 대표 진료의를 포함하는 다학제 진료를 예약하는 단계(S100); 예약된 다학제 진료와 관련된 복수의 의료진 단말로, 다학제 진료 예약을 알리는 단계(S200); 상기 복수의 의료진 단말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의료진으로부터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지정 받는 단계(S300'); 및 상기 다학제부는, 상기 S300' 단계에서의 지정에 기초하여, 상기 PACS부, 상기 논다이콤부, 상기 디지털 병리부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부에 직접 조회하여 다학제 통합 진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되,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벤더의 데이터의 경우에는 상기 벤더 중립부를 통해서 변환한 데이터를 상기 다학제부가 이용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 및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에 의하면, 첫째, 병원에서 다학제 진료 및 치료를 할 수 있도록,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및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빠르게 통합 관리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학제 통합 진료를 지원할 수 있다. 둘째, 다학제부의 사용자인 담당의 등의 열람 환경이나 설정을 그대로 저장하여, 다학제 진료를 위한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목적에 따라, 환자별 화면 구성에 대한 기본 프리셋(preset)을 만들거나, 열람하던 화면 구성을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화면 레이아웃 및 해당 이미지 셋을 그대로 로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셋째, 다학제부에서, 이미지 순서, 줌, 팬, 윈도우 레벨, 주석달기(annotation) 등도 저장하고 그대로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선택한 경우, 사전에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해당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디지털 병리 데이터와 세트(set)가 되는 다른 데이터가 선택되지 않더라도, 같이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여, 다학제 진료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섯째, 다학제부는, 복수의 의료진의 선택에 따라서 수신한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 이외에도, 상기 PACS부, 상기 논다이콤부, 및 상기 디지털 병리부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을 호출하여, 다학제 진료를 위하여 갑작스럽게 필요로 하는 추가적인 영상을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섯째, 각 과별 PACS부의 키 이미지만 지정한 경우에도, 다학제부가 직접 각 PASC부 등과 접속하여 영상을 통합적으로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의 다학제 예약 단계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의 다학제 영상 미리보기 및 영상수집 단계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의 다학제 진료 진행 단계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다학제 진료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학제 통합 진료를 지원하는 다학제 진료 시스템은, PACS부, 논다이콤(non-DICOM)부, 디지털 병리부, 전자의무기록부, 벤더 중립부 및 다학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PACS부는, 영상의학, 심장의학 또는 방사선종양학과 모댈리티(modality)에서 획득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를 저장하고,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뷰어에 대해서 연동하는 구성이다. DICOM 표준은, 의료용 기기에서 디지털 영상 표현과 통신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표준을 총칭하는 것으로, 미국 방사선의학회와 미국전기공업회에서 구성한 연합 위원회에서 발표한다. 도 2에서 RT PACS가 방사선 종양의학과의 모댈리티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논다이콤부는, 안과 장비, 뇌파 측정 장비, 이비인후과 장비, 심전도 장비, 초음파 장비, 현미경 장비, 내시경 장비를 포함한 모댈리티로부터 획득한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뷰어에 대해서 연동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안과장비 등을 포함한 모달리티는 물론이고, 여기에 한정 또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상 진료과의 모두 장비가 대상이 될 수 있다. DICOM 표준이 적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non-DICOM 데이터 또는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라고 하며, 논다이톰 데이터(non-DICOM DATA)는, 상술한 안과 장비, 뇌파 측정 장비, 이비인후과 장비, 심전도 장비, 초음파 장비, 현미경 장비, 내시경 장비에서 획득한 이미지, 동영상 데이터는 물론이고, 담당의가 기재한 텍스트나, 논문 자료 등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병리부는 홀 슬라이드 스캐너에서, 병리 검체 슬라이드에 대한 서로 다른 배율로 디지털 스캐닝하여 획득한, 홀 슬라이드 이미지를 포함한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구성이다. 디지털 병리를 위해서는, 병리 검체의 변형을 막기 위해 고정액으로 고정하는 픽세이션(fixation), 고정액을 침투하기 위해 자르는 그로싱(grossing), 검체 내의 파라핀을 주입하는 프로세싱, 검체를 포함한 파라핀 블록을 생성하는 임베딩, 검체를 얇게 자르는(슬라이스)하는 섹션닝, 검체의 조직을 염색하는 스테이닝(staining), 보존을 위해 봉입하는 커버-슬리핑(cover-slipping), 라벨링, 현미경을 통해 조직을 관찰하는 Micro-scope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 때 서로 다른 배율로, 즉 저배율, 중배율, 고배율 등 서로 다른 배율로 디지털 스캐팅하여, 홀 슬라이드 이미지(WSI : Whole Slide Image)를 획득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자의무기록부는,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입력, 저장, 관리하는구성으로, 중앙집중형 또는 클라우드 타입의 서버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 종이 챠트로 관리하던 의무 기록 방식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병원에서 발생하는 모든 의료 정보를 일체의 수정 없이 모두 전산화하는 방식을 전자의무기록(Electroic Medical Record, EMR) 방식이라 한다. 이러한 EMR 방식은 환자를 진료하면서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의료 정보 예를 들어 환자별 건강 상태, 환자별 병력, 환자별 검사 결과, 환자별 처방 결과, 환자별 약물 반응, 환자별 입원/퇴원 기록 등을 일정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전자의무기록부를 활용함으로써, 병원 경쟁력 강화 차원, 의료 환경 개선 차원 및 임상 연구 데이터 확보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자동화 시스템의 구축으로 병원 경영 상태 파악 및 인적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개인의 병력을 추적하여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임상 데이터를 축적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업무의 효율성 개선, 의료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향상, 의료사고 방지에 효과를 가져다 주었다. 다음으로, 벤더 중립부는 상술한 PACS부, 논다이콤부, 디지털 병리부 및 전자의무기록부에서 제공받은 서로 다른 벤더(vendor)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호환이 가능하게 저장하는 구성이다. 현재 많은 병원은, 서로 다른 벤더에서 공급한 PACS 시스템과, 논다이콤 시스템, 디지털 병리 시스템,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라, 서로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벤더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호환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벤더 중립부(VNA : Vendor Neutral Archive)이다. 다음으로, 다학제부는 상술한 벤더 중립부를 거쳐서 제공받은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디지털 병리 데이터 및 전자의무기록을 통합 관리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의 다학제 예약 단계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의 다학제 영상 미리보기 및 영상수집 단계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의 다학제 진료 진행 단계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다학제 진료 시스템의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에서는, 상술한 전자의무기록부를 통해서, 진료예약시간, 환자등록번호, 환자이름, 환자 성별, 환자 나이 또는 생년월일, 대표 진료의, 다학제 코드, 다학제명, 다학제 상세정보, 주진단 등을 포함하는 다학제 진료를 예약하게 된다(S100). 다학제부에서는, 전자의무기록부의 다학제 진료 예약을 기초로 하여, 다학제별 환자 예약 캘린더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후에는, 예약된 다학제 진료와 관련된 복수의 의료진 단말이나 복수의 의료진의 이메일이나 계정으로, 다학제 진료 예약을 알린다(S200). 다음으로, 복수의 의료진 단말이나 계정은, 복수의 의료진의 선택이나 입력에 따라서,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키 이미지(key image)를 벤더 중립부에 전송한다(S300).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의료진이 영상의학과인 경우에는, PACS부에서 조회된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게 된다. 선택된 영상 또는 키 이미지를 원 클릭(one-click) 또는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다학제부로 전송(send to MDT)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의료진이 영상의학과, 심장의학과 또는 병리학과가 아닌 경우에는, 논다이콤부에서 조회된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도 5의 초음파 이미지나 동영상 등)를 선택하거나 업로드함으로써,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send to MDT)하는 것이 가능하다. 키 이미지나 영상을 원 클릭(one-click) 또는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다학제부로 전송(send to MDT)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의료진이 방사선종양의학과인 경우에는, PACS부에서 조회된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게 된다. 선택된 영상 또는 키 이미지를 원 클릭(one-click) 또는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다학제부로 전송(send to MDT)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전송하는 하나의 이미지가 정해지면, 사전에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서, 같이 전송되어야 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나 텍스트 세트(set, 집합)를 미리 지정해 놓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래의 표 1과 같이, 특정 ISOVIEW 가운데 하나의 데이터나 캡처에 대해서 전송을 할 경우, 다른 캡처나 배치 캡쳐도 전송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예시이며, 이에 한정 또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 1] 상술한 것처럼,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선택한 경우, 사전에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해당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디지털 병리 데이터와 세트(set)가 되는 다른 데이터가 선택되지 않더라도, 같이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여, 다학제 진료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의료진이 병리학과인 경우에는, 디지털 병리부에서 조회된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게 된다. 디지털 병리부(디지털 병리 시스템)에서 홀 슬라이드 이미지 중 해당 배율의 해당 화면을 보이는 화면 그대로를 원 클릭(one-click) 또는 핫키(hot-key)를 이용하여 다학제부로 전송(send to MDT)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필요한 경우, 설정에 따라서 주석(annotation)도 포함하여 벤더 중립부로 전송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화면을 캡쳐해서 벤더 중립부로 전송하는 경우나, 해당 이미지만을 벤더 중립부로 전송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에 더하여, 미리 정해진 세트(집합)의 나머지 이미지도 같이 전송하는 경우 가운데 선택하여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벤더 중립부를 거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학제부는 다학제 통합 진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한다(S400). 다학제부는 별도의 중압집중형 또는 클라우드 서버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학제 예약 일정에 존재하는 환자 정보를 기준으로 다학제 뷰어에서 제공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다학제 뷰어의 좌측에는 다학제 예약이 된 3명의 아이콘(핑크색)이 위치한다. 해당 핑크색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사전에 벤더 중립부를 거쳐서 수신한 데이터, 즉 상기 PACS부, 상기 논다이콤부, 상기 디지털 병리부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부에서 제공받은, 상기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상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상기 디지털 병리 데이터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을 통합 관리하여 제공한다. 이 때, 사전에 준비한 레이아웃을 저장한 경우, 해당 레이아웃 대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보여 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학제부는, 복수의 의료진의 선택에 따라서 수신한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 이외에, 추가적인 영상을 조회할 수 있도록, 상기 PACS부, 상기 논다이콤부, 및 상기 디지털 병리부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을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학제 진료 시스템을 이용한 다학제 통합 진료를 지원하는 방법에서는, 복수의 의료진 단말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의료진으로부터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지정 받고(S300'), 다학제부는, S300' 단계에서의 지정에 기초하여, 상기 PACS부, 상기 논다이콤부, 상기 디지털 병리부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부에 직접 조회하여 다학제 통합 진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되,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벤더의 데이터의 경우에는 상기 벤더 중립부를 통해서 변환한 데이터를 다학제부가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S400'). S400단계에서는, 다학제부가, 환자의 진단코드 또는 진단명에 대응하는 환자 교육 자료를 조회하여, 조회된 환자 교육 자료를 포함하여 상기 다학제 통합 진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학제부의 인터페이스에서 "허리디스크"를 검색할 경우,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환자교육자료를 조회하여 첨부하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다학제 통합 진료를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존에 일일이 동일한 환자교육자료임에도 서로 USB나 이메일 등으로 주고 받아서, 다학제 진료를 위한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해 놓거나, 아니면 프린터로 출력해서 다학제 통합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진들에게 배포해서 이용하는 형태로, 아주 불편하고 아주 비효율적으로 해오고 있는 상황이다. 다음으로, 다학제부는, 다학제 진료 이후 다학제 진료 결과를 입력받아 다학제 결과 리포트가 작성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500단계는, 상기 다학제 통합진료의 시간 및 장소, 치료 방침 및 결정 사유, 환자에게 설명한 내용을 포함한 기록을 상기 전자의무기록부 또는 상기 다학제부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된 상기 전자의무기록부 또는 상기 다학제부에 대해서, 상기 다학제 통합진료에 참여한 모든 의사의 전자 서명이 기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록을 남김으로써, 다학제 통합 진료에 따른 급여산정 기준과 증빙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그 이후, 상기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뷰어에서, 해당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주석(annotation)으로 같이 제공하는 단계(S610); 상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뷰어에서, 해당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주석으로 같이 제공하는 단계(S620); 또는 상기 디지털 병리 시스템에서, 해당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주석으로 같이 제공하는 단계(S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혹은,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상기 벤더중립부를 통해서, 상기 PACS부로 전송하여, 상기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S610');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상기 벤더중립부를 통해서, 상기 논다이콤부로 전송하여, 상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S620'); 또는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상기 벤더중립부를 통해서, 상기 디지털 병리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S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다학제 통합 진료를 지원하는 다학제 진료 시스템으로서, 영상의학, 심장의학 또는 방사선종양학 모댈리티에서 획득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를 저장하고,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뷰어에 대해서 연동하는 복수 개의 PACS부; 안과 장비, 뇌파 측정 장비, 이비인후과 장비, 심전도 장비, 초음파 장비, 현미경 장비, 내시경 장비를 포함한 모댈리티로부터 획득한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뷰어에 대해서 연동하는 복수 개의 논다이콤(non-DICOM)부; 홀 슬라이드 스캐너에서, 병리 검체 슬라이드에 대한 서로 다른 배율로 디지털 스캐닝하여 획득한, 홀 슬라이드 이미지를 포함한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디지털 병리부;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입력, 저장, 관리하는 전자의무기록부; 상기 PACS부, 상기 논다이콤부, 상기 디지털 병리부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에서 제공받은 서로 다른 벤더(vendor)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호환이 가능하게 저장하는 벤더 중립부; 및 상기 벤더 중립부를 거쳐서 제공받은 상기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상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상기 디지털 병리 데이터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을 통합 관리하여 제공하는 다학제부;를 포함하는, 다학제 진료 시스템을 개시한다. 다학제 통합 진료를 지원하는 다학제 진료 시스템으로서, 영상의학, 심장의학 또는 방사선종양학 모댈리티에서 획득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를 저장하고,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뷰어에 대해서 연동하는 복수 개의 PACS부; 안과 장비, 뇌파 측정 장비, 이비인후과 장비, 심전도 장비, 초음파 장비, 현미경 장비, 내시경 장비를 포함한 모댈리티로부터 획득한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뷰어에 대해서 연동하는 복수 개의 논다이콤(non-DICOM)부; 홀 슬라이드 스캐너에서, 병리 검체 슬라이드에 대한 서로 다른 배율로 디지털 스캐닝하여 획득한, 홀 슬라이드 이미지를 포함한 디지털 병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디지털 병리부;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입력, 저장, 관리하는 전자의무기록부; 상기 PACS부, 상기 논다이콤부, 상기 디지털 병리부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부에서 제공받은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또는 서로 다른 벤더(vendor)의 데이터를 변환하여 호환이 가능하게 저장하는 벤더 중립부; 및상기 벤더 중립부를 거쳐서 제공받은 상기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상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상기 디지털 병리 데이터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을 통합 관리하여 제공하는 다학제부;를 포함하고,상기 전자의무기록부는, 진료예약시간, 환자등록번호, 환자이름, 환자 성별, 환자 나이 또는 생년월일, 대표 진료의, 다학제 코드, 다학제명, 다학제 상세정보, 주진단을 포함하는 다학제 진료 예약을 접수하고, 다학제부는 상기 벤더 중립부를 거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상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상기 디지털 병리 데이터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을 통합하여, 다학제 통합 진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학제 진료 시스템. 제 1 항에 기재된 다학제 진료 시스템을 이용한 다학제 통합 진료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의무기록부가, 진료예약시간, 환자등록번호, 환자이름, 환자 성별, 환자 나이 또는 생년월일, 및 대표 진료의, 다학제 코드, 다학제명, 다학제 상세정보, 주진단을 포함하는 다학제 진료 예약을 받는 단계(S100); 상기 다학제 진료 시스템은, 예약된 다학제 진료와 관련된 복수의 의료진 단말로, 다학제 진료 예약을 알리는 단계(S200); 상기 복수의 의료진 단말은, 상기 복수의 의료진의 선택에 따라서,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는 단계(S300); 및상기 벤더 중립부를 거쳐서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학제부는 다학제 통합 진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S300 단계는, 상기 의료진이 영상의학과 또는 심장의학과인 경우에는, 상기 PACS부에서 조회된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다학제 진료 시스템은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이 병리학과인 경우에는,상기 디지털 병리부에서 조회된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디지털 병리 데이터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다학제 진료 시스템은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고, 상기 의료진이 영상의학과, 심장의학과 또는 병리학과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논다이콤부에서 조회된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의 선택이나 업로드에 따라서, 상기 다학제 진료 시스템은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벤더 중립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한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디지털 병리 데이터가 선택된 경우, 사전에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해당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디지털 병리 데이터와 세트(set)가 되는 다른 데이터가 선택되지 않더라도, 같이 상기 벤더 중립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S400단계에서는, 상기 다학제부가, 상기 환자의 진단코드 또는 진단명에 대응하는 환자 교육 자료를 조회하여, 상기 조회된 환자 교육 자료를 포함하여 상기 다학제 통합 진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다학제부는, 다학제 진료 이후 다학제 진료 결과를 입력받아 다학제 결과 리포트가 작성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S500단계는, 상기 다학제 통합진료의 시간 및 장소, 치료 방침 및 결정 사유, 환자에게 설명한 내용을 포함한 기록을 상기 전자의무기록부 또는 상기 다학제부에 기록하는 단계; 및상기 기록된 상기 전자의무기록부 또는 상기 다학제부에 대해서, 상기 다학제 통합진료에 참여한 모든 의사의 전자 서명이 기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다학제 진료 시스템에서, 상기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 뷰어에서, 해당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가 조회되는 경우,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주석(annotation)으로 같이 제공하는 단계(S610); 상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 뷰어에서, 해당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가 조회되는 경우,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주석으로 같이 제공하는 단계(S620); 또는 상기 디지털 병리 시스템에서, 해당 다학제 진료를 받은 환자가 조회되는 경우,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주석으로 같이 제공하는 단계(S6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다학제 진료 시스템에서,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상기 벤더중립부를 통해서, 상기 PACS부로 전송하여, 상기 DICOM 표준 의료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S610'); 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상기 벤더중립부를 통해서, 상기 논다이콤부로 전송하여, 상기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S620'); 또는상기 다학제 결과 리포트를 상기 벤더중립부를 통해서, 상기 디지털 병리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S6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학제부는, 상기 복수의 의료진의 선택에 따라서 수신한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 이외에, 현장에서 다학제 진료를 위해서 필요로 하는 추가적인 영상을 조회할 수 있도록, 상기 PACS부, 상기 논다이콤부, 및 상기 디지털 병리부 가운데 어느 하나 이상을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 제 1 항에 기재된 다학제 진료 시스템을 이용한 다학제 통합 진료를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의무기록부가, 진료예약시간, 환자등록번호, 환자이름, 환자 성별, 환자 나이 또는 생년월일, 및 대표 진료의를 포함하는 다학제 진료 예약을 받는 단계(S100); 상기 다학제 진료 시스템은, 예약된 다학제 진료와 관련된 복수의 의료진 단말로, 다학제 진료 예약을 알리는 단계(S200); 상기 복수의 의료진 단말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의료진으로부터 다학제 진료에 필요한 데이터를 지정 받는 단계(S300'); 및 상기 다학제부는, 상기 S300' 단계에서의 지정에 기초하여, 상기 PACS부, 상기 논다이콤부, 상기 디지털 병리부 및 상기 전자의무기록부에 직접 조회하여 다학제 통합 진료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되, 비표준 의료 및 임상 데이터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벤더의 데이터의 경우에는 상기 벤더 중립부를 통해서 변환한 데이터를 상기 다학제부가 이용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다학제 통합 진료 지원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