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보호용 차단기
본 발명은 모터보호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락 사고시 트립 표시 기능을 갖는 모터보호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 보호용 차단기(MMS;Manual Motor Starter)는 정격 절연전압이 교류 690V (주파수 50Hz 또는 60Hz) 이하의 전로에 사용하는 기기로서 모터의 전단에 설치하여 과전류(over-current), 결상(phase loss), 역상(phase reverse), 단락 전류(short circuit), 지락(ground fault) 등에 의한 사고전류 발생 시 동작하여 계통을 차단해 줌으로써 계통 및 부하기기를 보호해주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모터 보호용 차단기는 과전류, 결상, 역상, 단락전류, 지락 등의 사고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검출부(detecting unit)(1)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개폐 기구부(operating mechanism)(2)와, 상기 개폐 기구부의 작동에 따라 연동하면서 전로를 개폐하는 접점부(contact unit)(3)와, 차단시 상기 접점부의 접점이 이격되면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소호부(arc extinguishing unit)(4)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모터 보호용 차단기는 정상적인 통전 시에는 접점부의 가동 접촉자(moving contact)(5)와 고정 접촉자(fixed contact)(6)가 접속되어 전원측 단자로 인입되는 전류를 부하측 단자(7)로 통전시키게 되지만, 사고전류가 발생하면 검출부(1)가 이를 감지하여 개폐 기구부(2)를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개폐기구부(2)의 동작에 의해 가동 접촉자(5)의 가동 접점이 고정 접촉자(6)의 고정접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전류가 부하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준다. 전류에 따라 차단 과정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과전류 발생 시에는 바이메탈(8)이 만곡함에 따라 시프트 플레이트(9) 및 시프트 레버(10)가 동작하여 래치 홀더(11)를 움직여 래치(12)를 해방시킨다. 이에 따라 개폐기구부(2)가 동작하여 크로스바(13)를 눌러 가이드 무버(14)를 밀어내려 가동접촉자(5)는 고정접촉자(6)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전류는 차단된다. 단락 사고 전류 발생시 코일부(15)의 동작에 의해 트립 레버(16)가 작동하여 트립 플레이트(17)를 동작시키고, 트립 플레이트(17)는 래치 홀더(11)를 동작시켜 래치(12)를 해제시키게 되어 전술한 과전류 트립과 같은 개폐기구부(2)의 차단 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외함(21,22,23)은 상부 프레임(21), 중간 프레임(22), 하부 프레임(23)으로 구성된다. 도 2에는 하부 프레임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하부 프레임(23)의 내부에는 소호부(4)와 접점부(3)가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23)에는 소호부(4), 즉 아크 챔버가 삽입 설치된다. 소호부(4)는 가동접촉자(5)의 양측에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23)에는 가동부 지지대(25)가 삽입된다. 가동부 지지대(25)는 'ㄷ'자형의 몸체로 형성되어 하부 프레임(23)의 삽입홈(24)에 설치된다. 가동부 지지대(25)의 내부에는 가이드 무버(14) 및 가동접촉자(5)가 삽입된다. 그런데, 가동부 지지대(25)는 'ㄷ'자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공정에서 부품 사출시 안쪽으로 수축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가동부 지지대(25)는 가이드 무버(14)와 간섭이 발생되어 가이드 무버(14)의 동작이 원활하지 않고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닿지 않아 통전 불량이 발생된다. 또한 과전류 및 단락 차단시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가동부 지지대(25)가 열변형으로 인한 수축이 발생하여 가이드 무버(14)와의 간섭에 따른 통전 불량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온의 열에 의한 지지몸체의 변형을 방지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는 외함,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하는 접점부, 차단시 상기 접점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롤 소호하는 소호부, 상기 접점부의 가동부를 가동시키는 개폐기구부, 과전류나 사고 전류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기 위한 트립부가 포함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하부 프레임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접점부의 가동부와 상기 소호부가 설치되는 지지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몸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몸체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결합되는 지지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벽 또는 상간 격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단면이 'ㄱ'자인 플레이트나 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벽 또는 상간 격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는 소정거리로 이격하여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벽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접점부의 가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는 측면 및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부는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의하면 하부 프레임에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몸체에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결합되는 지지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몸체의 수축을 방지하므로 제조시 수축이 발생하여도 지지몸체는 정위치에 유지되어 가동접촉자의 동작에 필요한 이격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지지몸체와 가이드 무버의 간섭에 따른 동작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차단시 발생하는 고온, 고열의 아크에 의한 열변형에 대해서도 저항력을 발휘하여 동작 성능이 장기간 보장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하부 프레임 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하부 프레임 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하부 프레임을 제외한 내부 구성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하부 프레임 부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는 외함(181,182,183),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하는 접점부(110), 차단시 상기 접점부(110)에서 발생하는 아크롤 소호하는 소호부(120), 상기 접점부(110)의 가동부(113,115,117)를 가동시키는 개폐기구부(140), 과전류나 사고 전류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개폐기구부(140)를 트립시키기 위한 트립부(130)가 포함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83)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접점부(110)의 가동부(113,115,117)와 상기 소호부(120)가 설치되는 지지몸체(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183)에는 상기 지지몸체(190)를 지지하는 가이드부(187)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몸체(190)에는 상기 가이드부(187)에 삽입되는 지지돌기부(195)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는 과전류, 결상, 역상, 단락전류, 지락 등의 사고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검출부(detecting unit)(130)와, 상기 검출부(130)의 검출신호에 따라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개폐 기구부(operating mechanism)(130)와, 상기 개폐 기구부(140)의 작동에 따라 연동하면서 전로를 개폐하는 접점부(contact unit)(110)와, 차단시 상기 접점부(110)의 접점이 이격되면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소호부(arc extinguishing unit)(12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외함(181,182,183)은 내부에 구성 요소들을 설치하고 지지한다. 외함(181,182,183)은 합성수지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점부(110)는 외함(181,182,183)의 일부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측 단자부(105) 또는 부하측 단자부(106)에 연결되는 고정 접촉자(111)와 상기 고정 접촉자(111)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하는 가동 접촉자(113)를 포함한다. 고정 접촉자(111)는 단자부(105,106)에 인접하여 각각 배치된다. 고정 접촉자(111)에는 각각 고정접점(112)이 마련된다. 고정 접촉자(111)에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강한 재료로 형성되는 고정접점(112)이 마련된다. 가동 접촉자(113)는 고정 접촉자(111)에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가동 접촉자(113)는 가이드 무버(guide mover)(115)에 설치되어 가이드 무버(115)와 함께 고정 접촉자(111)를 향해 직선 운동(상하 운동)할 수 있다. 가동 접촉자(113)에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강한 재료로 형성되는 가동접점(114)이 마련된다. 가동 접촉자(113)의 하부에는 접촉 스프링(117)이 배치되어 가동 접촉자(113) 또는 가이드 무버(115)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접점부(110) 주변에 소호부(120)가 마련된다. 소호부(120)는 차단시 접점부(110)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소호부(120)는 아크 챔버라고도 한다. 소호부(120)에는 측판(121)과 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그리드(123)가 구비된다. 접점부(110)의 하부에는 소호부(120)로 아크를 유도하는 아크 플레이트(125)가 구비된다. 아크 플레이트(125)는 아크 러너(arc runner)라고도 한다. 과전류나 사고 전류 등 이상 전류를 검출하고 트립시키기 위하여 검출부 혹은 트립부(130)가 마련된다. 트립부(130)는 과전류 검출을 하는 지연 트립장치와 사고 전류(단락 전류) 검출을 하는 순시 트립장치를 포함한다. 지연 트립장치는 부하측 단자부(106) 또는 히터(133)에 연결되어 과전류가 흐를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만곡하는 바이메탈(131), 상기 바이메탈(131)의 만곡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판(134), 상기 이동판(134)에 설치되어 움직이는 이동판 레버(135), 상기 이동판 레버(135)에 의해 회동하는 보상 바이메탈(136)을 포함한다. 바이메탈(131), 이동판(134), 이동판 레버(135), 보상 바이메탈(136)의 순차적인 연동 운동을 통해, 보상 바이메탈(136)은 개폐기구부(140)의 래치홀더(141)를 움직인다. 순시 트립장치는 부하측 단자부(106)에 사고 전류가 흐르는 경우 유도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151), 상기 코일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자(152) 및 유도 전자기력에 의해 움직이는 가동자(153), 가동자(153)의 힘을 받아 움직이는 트립 레버(154), 트립 레버(154)에 연동하여 움직이며 래치 홀더(147)를 움직이는 트립 플레이트(155)를 포함한다. 개폐기구부(140)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개폐기구부(140)를 조작하여 접점부(110)를 개폐하여 회로를 통전(On)시키거나 차단(Off)하게 된다. 개폐기구부(140)는 핸들(141), 핸들(141)의 운동을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전환하는 조인트 기어(142), 조인트 기어(142)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제1 유핀(U pin)(149), 래치(143), 제2 유핀(U pin)(144) 및 푸시 링크(push link)(145)가 구비된다. 제1 유핀(149)은 조인트 기어(142)와 래치(143) 사이에 구비되어 조인트 기어(142)의 움직임에 따라 래치(143)를 밀거나 끌어당긴다. 제2 유핀(144)은 푸시 링크(145)와 래치(143) 사이에 구비되어, 푸시 링크(145)의 움직임에 따라 래치(143)를 밀거나 끌어당기거나 래치(143)의 움직임에 따라 푸시 링크(145)를 밀거나 끌어당긴다. 래치(143)는 제1 유핀(149)과 제2 유핀(144)의 상대운동에 따라 움직인다. 푸시 링크(145)는 크로스바(146)를 누르고, 크로스바(146)는 가이드 무버(115)를 움직여 접점부(110)를 개폐한다. 래치 홀더(147)는 래치(143)를 구속하거나 해방한다. 래치 홀더(145)는 정상 상태 동작에서는 래치(143)의 온오프 걸림부(143a)를 구속한 상태에 있고, 과전류 또는 단락 전류 발생 시에는 래치(143)의 온오프 걸림부(143a)의 구속을 해제하여 트립 작동이 일어나도록 한다. 외함(181,182,183)은 상부 프레임(181), 중간 프레임(182), 하부 프레임(183)으로 구성된다. 상부 프레임(181)의 내부에는 개폐기구부(140)의 일부가 삽입 설치되고, 상부 프레임(181)의 상면에는 핸들(141)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는다. 중간 프레임(182) 내부에는 개폐기구부(140)와 검출부(130)가 설치된다. 또한, 중간 프레임(182)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단자부(105,106)가 구성되어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된다. 한편, 접점부(110)에서 고정접촉자(111)는 중간 프레임(182)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183)에는 접점부(110)와 소호부(120)가 설치된다. 도 4에 하부 프레임(183)과 그 내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하부 프레임(183)의 내부 구성 부분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83)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183)은 상간 격벽(184)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3상 차단기의 경우 2개의 상간 격벽(184)이 마련된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183)에는 측벽(188)과 각 상간 격벽(184)으로 구획되는 하부 격실(186)이 마련된다. 3상 차단기의 경우 3개의 하부 격실(186)이 마련된다. 각 하부 격실(186)에는 각 상별 구성품(이를테면, 접점부와 소호부)이 설치될 수 있다. 각 하부 격실(186)의 바닥면 중간부에는 삽입홈(185)이 형성된다. 각 하부 격실(186)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부(187)가 마련된다. 즉, 하부 프레임(183)의 각 측벽(188)의 내측면 및 각 상간 격벽(184)의 양측면에는 가이드부(187)가 마련된다. 가이드부(187)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나 빔(be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87)는 지지몸체(190)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87)는 단면이 'ㄱ'자형 또는 'ㄴ'자형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87)는 삽입홈(185)의 각 모서리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87)는 삽입홈(185)의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하부 격실(186)에 설치되는 구성품을 살펴보기로 한다. 아크 플레이트(125)가 마련된다. 아크 플레이트(125)는 아크 러너라고도 한다. 아크 플레이트(125)는 차단시 접점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부(120)로 유도한다. 아크 플레이트(125)는 중간부가 절곡되어 삽입홈(185)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몸체(190)가 마련된다. 지지몸체(190)는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즉,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2개의 벽부(191)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벽부(191) 사이의 공간에는 접점부(110)의 가동부(115, 117, 113)가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접점부(110)의 가동부(115, 117, 113)는 가이드무버(115)와 가동접촉자(113) 및 접촉스프링(117)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몸체(190)의 양단부에는 소호부(120)를 지지하는 소호부 지지 리브(194)가 마련된다. 소호부 지지 리브(194)와 벽부(191)로 둘러쌓인 공간에 소호부(120)의 그리드(123)가 설치되고 지지된다. 지지몸체(190)의 벽부(191) 외측면에는 삽입부(193)가 마련된다. 삽입부(193)는 벽부(191)의 측면 및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삽입부(193)는 하부 격실(186)의 삽입홈(185)에 일부 삽입 설치된다. 삽입부(193)의 하부가 삽입홈(185)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지지몸체(190)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삽입부(193)의 측부는 인접한 가이드부(187) 사이에 삽입된다. 삽입부(193)의 상단부에 지지돌기부(195)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돌기부(195)는 가이드부(187)의 홈에 삽입된다. 즉, 지지몸체(190)가 하부 프레임(183)에 조립될 때, 지지돌기부(195)가 가이드부(187)에 삽입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몸체(190)는 하부 프레임(183)의 측벽(188) 또는 상간 격벽(184)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내측으로 수축하지 않고 측벽(188)이나 상간 격벽(184)에 밀접하게 배치된다. 지지돌기부(195)는 삽입부(193)의 측방으로 일부 돌출된다. 즉, 벽부(191)를 향해 보았을때, 삽입부(193)의 측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가이드부(187)의 홈에 삽입된다. 가이드부(187)가 지지돌기부(195)를 고정하므로 지지몸체(190)는 벽부(191)는 열이나 힘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의하면 하부 프레임에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몸체에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결합되는 지지돌기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몸체의 수축을 방지하므로 제조시 수축이 발생하여도 지지몸체는 정위치에 유지되어 가동접촉자의 동작에 필요한 이격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지지몸체와 가이드 무버의 간섭에 따른 동작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차단시 발생하는 고온, 고열의 아크에 의한 열변형에 대해서도 저항력을 발휘하여 동작 성능이 장기간 보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접점부
120 소호부
130 트립부
140 개폐기구부
183 하부 프레임
184 상간 격벽
185 삽입홈
186 하부 격실
187 가이드부
188 측벽
190 지지몸체
191 벽부
193 삽입부
195 지지돌기부 본 발명은 모터보호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락 사고시 트립 표시 기능을 갖는 모터보호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보호용 차단기는 외함,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하는 접점부, 차단시 상기 접점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롤 소호하는 소호부, 상기 접점부의 가동부를 가동시키는 개폐기구부, 과전류나 사고 전류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기 위한 트립부가 포함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하부 프레임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접점부의 가동부와 상기 소호부가 설치되는 지지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몸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몸체에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결합되는 지지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함, 회로를 통전 또는 차단하는 접점부, 차단시 상기 접점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롤 소호하는 소호부, 상기 접점부의 가동부를 가동시키는 개폐기구부, 과전류나 사고 전류 발생을 검출하고 상기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기 위한 트립부가 포함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하부 프레임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접점부의 가동부와 상기 소호부가 설치되는 지지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몸체를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지지몸체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홈에 삽입되는 지지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벽 또는 상간 격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단면이 'ㄱ'자인 플레이트나 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소정거리로 이격하여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벽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접점부의 가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측면 및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부는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보호용 차단기.